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치시사Q179

문재인 대통령, 이집트 최대 공영신문 '알 아흐람(Al Ahram)'지 인터뷰 전문 문재인 대통령, 이집트 최대 공영신문 '알 아흐람(Al Ahram)'지 인터뷰 전문(국문) 1. 먼저, 문 대통령님의 첫 이집트 방문의 감회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한국이 이번 방문에서 추구하는 목적과 방문의 주된 이유가 무엇입니까? 16년 만에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움므 알 둔야”에 방문하게 되어 기쁩니다. 이집트는 인류 최초 문명이 태동한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중동, 아프리카, 유럽을 연결하는 역내 주요 국가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슬람 문화를 선도하는 국가이자, 아랍지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나라입니다. 세계 모든 국가들이 성장 잠재력과 역동성을 모두 갖춘 이집트와 협력을 원할 정도로 매력적인 나라입니다. 특히 우리 한국 정부는 COP27 회의를 개최하게 된 이집트의 선도적.. 2022. 1. 20.
기본소득, 전세계의 모범이 될 수 있을까? (가이 스탠딩 런던 SOAS 교수) 2022년 1월 20일, 이재명 후보의 블로그에 '기본소득은 홍익인간의 정신을 존중하는 정책'의 제목의 글이 올라왔습니다. 기본소득과 홍익인간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이 글에서 이재명 후보는 영국 런던SOAS 교수 가이 스탠딩의 기고문을 인용했습니다. 글의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기본소득은 홍익인간의 정신을 존중하는 정책 고조선의 건국 이념 홍익인간을 외국 학자의 글에서 볼 줄은 몰랐습니다.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의 공동창립자인 가이 스탠딩 영국 SOAS대 교수가 한국 대선에 대한 글을 국내 언론에 기고했습니다. 가이 스탠딩 교수는 기본소득 분야의 권위있는 이론가이자, '프레카리아트'(불안정 노동자)라는 용어를 널리 알리며 현대 자본주의의 모순을 날카롭게 지적해 온 경제학자입니다. 그런 가이 .. 2022. 1. 20.
문재인 대통령, 걸프협력회의(GCC) 사무총장 접견, 한-걸프협력회의(GCC)와 FTA 협상 재개 2022년 1월 19일 오전(현지시각), 문재인 대통령은 나예프 알 하즈라프 걸프협력회의(GCC, Gulf Cooperation Council) 사무총장을 접견한 자리에서 "양측간 FTA가 체결되면 제조업 분야에서 호혜적 협력이 더 강화될 것"이라며 “서비스, 지재권, 에너지·기술·환경 협력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간 혜택과 이익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나예프 GCC 사무총장 접견, 2010년 이후 중단된 FTA 협의 재개키로 "FTA협상 체결되면 에너지·기술, 국방·안보 등 다양한 분야의 상호이익을 늘릴 수 있을 것” 나예프 사무총장 "향후 6개월간의 일정으로 FTA 협상에 임할 것" "조만간 방한 계획, 한국 기업인들이 GCC와 투자 분야 전략 대화채널을 만들 수 있기를.. 2022. 1. 20.
문재인대통령, 한-사우디 스마트 혁신성장 포럼 기조연설 2022년 1월 18일(현지시각), 문재인대통령은 한-사우디 스마트 혁신성장 포럼에 참석해서 기조연설을 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문대통령은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에너지원이 될 수소 분야, 미래도시 건설, 신성장 동력 분야, 수소, 보건 디지털, 제조업 분야 등에서 양국 기업 간 10건이 넘는 경제 협력 MOU가 체결 등 미래산업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습니다. 한-사우디 스마트 혁신성장 포럼 기조연설 사우디아라비아와 한국의 경제인 여러분, 양국 장관님들과 귀빈 여러분, 스마트 혁신성장 포럼 개최를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오늘 사우디의 경제 중심지 리야드에서 양국 경제 협력의 장이 마련되어 매우 뜻깊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두 개의 성스러운 성지의 수호자이신 국왕님의 영도로 중동과 이슬람 문화를 세계.. 2022. 1.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