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치시사Q179 [이슈체크]가쓰라-태프트 밀약이란? 1. 가쓰라-태프트 밀약(Taft–Katsura agreement)이란? 1905년 7월 29일, 러일 전쟁 직후 미국 육군 장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와 일본 제국 내각 총리대신 가쓰라 다로가 도쿄에서 회담한 내용을 담고 있는 대화 기록입니다.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과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에 대한 지배권을 상호 승인하는 문제를 놓고 양자가 회담한 내용을 기록한 것입니다. 미·일 양국 모두 이 기록을 극비에 부쳤기 때문에 1924년이 돼서야 비로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기록에는 서명된 조약이나 협정 같은 것은 없었고, 일본-미국 간 관계를 다룬 대화에 대한 각서(memorandum)만 있었습니다. 2. 시대적 배경 1904년 2월, 일제는 대한제국과 한일의정서를 맺는 동시에 아서항을 공격해.. 2021. 11. 14. [팩트체크]한국 잠재성장률, OECD국 꼴찌? 1. 2030~2060년 잠재성장률 전망치만 언급 지난 11월 9일 중앙일보는 “한국 잠재성장률 0.8% 전망, OECD국 꼴찌 라는 헤드라인의 기사에서 “한국의 1인당 잠재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030∼2060년에 0%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한국 잠재성장률 0.8% 전망, OECD국 꼴찌 8일 OECD가 최근 발표한 2060년까지의 재정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OECD는 정책 대응 없이 현 상황이 유지된다고 가정한 ‘기본 시나리오(Baseline Scenario)’에서 한국의 2030~2060년 1인당 잠재 GDP 성장률 www.joongang.co.kr 그런데 기사의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현재의.. 2021. 11. 12. [팩트체크]한국 국가채무 증가속도 선진국 1위? 1. '한국 국가채무 증가속도 1위' 언론 기사 모음 지난 2021년 11월 8일, 연합뉴스를 필두로 '한국의 국가채무 증가 속도가 35개 선진국 중 1위'라는 헤드라인으로 기사가 쏟아졌습니다. 다음은 빅카인즈에서 캡처한 언론들의 기사 헤드라인입니다. 2. IMF 발표자료(국가채무)와 OECD 발표자료(국가부채) 차이 IMF "한국 GDP 대비 국가채무 증가 속도 35개 선진국 중 1위"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한국의 향후 5년간 경제 규모 대비 국가채무 증가 속도가 선진국 반열에 오른 35개국 중 가장 빠를 것으로 관측됐다. 저출산·고령화 등 국가채무가 늘어날 수밖에 news.v.daum.net 연합뉴스는 IMF를 인용하여 2020년에서 2026년까지 대한민국의 GDP 대비 국가 채무 증가속.. 2021. 11. 12. [이슈픽]'위드 코로나'...소비할인쿠폰 7종 소개 '위드 코로나'... "다시 일상으로" 소비할인쿠폰 7종 소개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 활동과 소비를 회복하고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전시·공연·영화·실내체육시설·프로스포츠·숙박·여행 소비할인권 7종을 발표했습니다. 사용처와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문화 소비할인권 문체부, 7개 분야 소비할인권 지원 시작 www.mcst.go.kr ◀박물관 전시 박물관 : 관람료 40% 할인(최대 3천 원, 1인 10매) 시행시기 : 11. 1. ~ 소진 시 ‘문화엔(N)티켓' (www.culture.go.kr/ticket) 에서 신청 ◀ 미술 전시 미술관 : 최대 5천 원 할인(예매처별 1인당 4매, 카카오톡 채널 1인당 6매) 시행시기 : 11. 1. ~ 소진 시 예술경영지원센터 누리집(www.gok.. 2021. 11. 2.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45 다음 728x90 반응형